AMA 장해평가방식 맥브라이드 방식, 당신에게 중요한 장해평가 기준은?

 

교통사고나 질병으로 인한 '장해', 어떻게 평가될까? 🔍 복잡하게만 느껴지는 AMA 장해평가방식,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핵심만 콕콕 짚어드립니다.

교통사고나 산업재해, 혹은 갑작스러운 질병으로 인해 몸이 예전 같지 않을 때, 우리는 '장해'라는 단어를 마주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장해 상태를 얼마나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지가 보험금이나 손해배상금에 큰 영향을 미치죠. 근데 솔직히, '장해평가'라는 말 자체가 너무 어렵고 복잡하게 느껴지잖아요? 😔


특히 보험 약관이나 손해배상 소송 관련 서류를 보면 'AMA 방식'이라는 용어가 자주 등장해요. 이게 대체 뭘까요?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처럼, AMA 방식을 정확히 이해하고 있다면 불합리한 장해율 판정을 막고 정당한 보상을 받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어렵고 딱딱한 AMA 방식을 쉽고 명쾌하게 알려드릴게요! 😊

 

AMA 장해평가방식, 왜 알아야 할까? 🤷‍♂️

AMA 방식은 미국의사협회(American Medical Association)에서 발행하는 지침서를 기반으로 한 장해평가 방법이에요. 이 방식은 신체 기능의 손상 정도를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측정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 핵심 원리
AMA 방식은 "신체의 손상(Impairment)"을 측정합니다. 즉, 팔이 얼마나 굽혀지지 않는지, 관절 가동 범위가 얼마나 줄었는지 등 객관적인 수치를 기반으로 장해율을 산정하는 방식이에요. 이와 달리 '노동 능력 상실'을 평가하는 맥브라이드 방식과 큰 차이를 보이죠.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생명보험, 상해보험, 후유장해 보험금 등을 산정할 때 이 AMA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보험금을 청구하거나 법적 분쟁을 준비하고 있다면, 이 평가 기준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AMA 방식 vs. 맥브라이드 방식, 주요 차이점 ⚖️

손해배상 소송에서는 AMA 방식과 함께 '맥브라이드 방식'이 함께 사용되기도 합니다. 이 둘의 차이를 명확히 아는 것이 중요해요.

구분 AMA 방식 맥브라이드 방식
평가 기준 신체 손상 정도 (Impairment) 노동 능력 상실률
주요 적용처 생명/상해/후유장해 보험금, 개인 합의 자동차보험, 산업재해, 법원 소송
측정 방법 관절 각도, 신경학적 증상 등 객관적 수치 직업, 나이, 부상 부위 등을 고려한 복합적 판단

가장 큰 차이는 '신체 손상' 자체를 보는지, 혹은 '노동 능력의 상실'을 보는지입니다. AMA 방식은 '당신의 팔이 예전만큼 움직이지 않는다'고 말하는 반면, 맥브라이드 방식은 '당신의 팔이 움직이지 않아서 예전처럼 일할 수 없다'고 말하는 셈이죠.

보험금 청구 시에는 대부분 AMA 방식이 적용되니, 이 방식에 대한 이해가 특히 중요합니다.

 

AMA 장해평가, 어떻게 이루어질까? 🩺

AMA 방식의 장해평가는 주로 세 가지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장해율을 산정합니다.

  1. 운동 기능 제한: 관절의 정상적인 가동 범위가 얼마나 줄었는지를 측정합니다. 예를 들어, 팔이 90도밖에 펴지지 않는다면 그 제한 정도를 백분율로 환산하는 방식이죠.
  2. 신경 손상: 신경 손상으로 인한 근력 약화, 감각 이상, 반사 기능 저하 등을 평가합니다. 객관적인 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장해율을 판단합니다.
  3. 통증 정도: 환자의 주관적인 통증은 AMA 방식에서 직접적인 평가 대상은 아니에요. 다만, 통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능적 제한을 객관적인 검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평가에 반영하기도 합니다.
⚠️ 주의하세요!
AMA 방식은 '영구 장해'를 전제로 평가합니다. 따라서 수술 후나 치료 과정 중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증상은 장해로 인정받기 어렵고, 충분한 치료 후 더 이상 호전되기 어렵다고 판단될 때 평가가 진행됩니다. 최소 6개월 이상 치료를 진행하고 상태가 고정된 후에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에요.

 

AMA 방식, 실제 사례로 살펴보기 📝

예를 들어, 교통사고로 팔꿈치 관절에 부상을 입은 환자의 경우를 살펴볼까요?

팔꿈치 관절 장해 평가 시나리오

  • 진단: 우측 팔꿈치 복합 골절
  • 치료: 수술 및 6개월간의 재활 치료
  • 평가:
    • 운동 기능: 의사가 각도기를 이용해 팔꿈치 관절의 굽힘(굴곡) 및 폄(신전) 각도를 측정합니다.
    • 결과: 정상적인 운동 범위보다 30%가량 제한이 있다고 판정됩니다.
  • 장해율 산정: 의사는 AMA 지침에 따라 측정된 각도 제한 수치에 해당하는 장해율(%)을 계산합니다. 이 장해율은 보험금 지급에 직접적인 기준이 됩니다.

이처럼 AMA 방식은 의사의 주관적인 판단보다는 객관적인 측정 수치를 기반으로 장해율을 산정하기 때문에, 공신력이 높고 국제적으로도 널리 통용되는 방식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AMA 장해진단서를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상급 종합병원 등에서 장해진단 전문의에게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진단서 발급 전 AMA 방식에 대한 경험이 풍부한 의사를 찾는 것이 중요해요.
Q: 장해평가는 치료 후 언제쯤 받는 것이 좋나요?
A: 일반적으로 사고일 또는 최종 치료일로부터 최소 6개월이 경과한 시점에 받는 것을 권장합니다. 증상이 고정되었다고 판단될 때 평가해야 정확한 장해율을 인정받을 수 있어요.
Q: 복합적인 부상(여러 부위 장해)은 어떻게 평가하나요?
A: AMA 방식은 여러 장해를 합산하는 '합산 장해율' 산정 기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각 부위별 장해율을 산정한 뒤, 정해진 계산법에 따라 최종 장해율을 도출해요.

AMA 장해평가방식은 결코 쉬운 내용은 아니지만, 오늘 알려드린 핵심 내용만 기억해도 전문가와 상담하거나 서류를 검토할 때 큰 도움이 될 거예요. 내 권리는 내가 먼저 지켜야 한다는 사실, 잊지 마세요!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물어봐주세요!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