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션 고수처럼 쓰는 법, '관계형'과 '롤업'만 알면 됩니다!

 

🔗 "흩어진 정보를 하나로!" 노션 고수가 되는 치트키, 데이터베이스 관계형 속성. 혹시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 따로, 할 일 데이터베이스 따로 관리하며 불편함을 겪고 계신가요? 노션의 꽃, '관계형' 속성을 사용하면 여러 데이터베이스를 똑똑하게 연결해 업무 효율을 200%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관계형부터 롤업까지, 차근차근 알려드릴게요!

노션을 처음 사용할 땐 단순한 메모장처럼 쓰지만, 조금만 익숙해지면 '데이터베이스' 기능의 강력함에 빠져들게 되죠. 하지만 진짜 '노션 고수'가 되기 위한 마지막 관문이 남아있으니, 바로 '관계형(Relation)' 속성입니다. "뭔가 복잡하고 어려워 보여..."라며 지레 겁먹고 피하셨다면 오늘 이 글을 주목해주세요! 엑셀의 VLOOKUP보다 직관적이고 Notion을 100배 더 강력하게 만들어 줄 관계형 속성 사용법, 지금부터 시작합니다! 😊

 


노션 '관계형' 속성, 대체 뭔가요? 🤔

'관계형' 속성은 이름 그대로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해주는 다리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관리' 데이터베이스와 '할 일(Tasks)' 데이터베이스가 따로 있다고 상상해보세요. 관계형 속성을 사용하면, 'A 프로젝트' 페이지 안에서 'A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할 일'들만 쏙쏙 골라와 한눈에 볼 수 있게 됩니다.

더 이상 두 개의 데이터베이스를 왔다 갔다 하며 "이 업무가 어느 프로젝트 소속이었지?" 하고 헷갈릴 필요가 없어지는 것이죠. 정보는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 깔끔하게 정리하되, 필요할 때 서로를 연결해 유기적인 정보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 이것이 바로 관계형 속성의 핵심입니다.

 

따라하기: '프로젝트'와 '할 일' 데이터베이스 연결하기 🔨

백문이 불여일견! 가장 대표적인 예시인 '프로젝트'와 '할 일' 데이터베이스를 직접 연결해 봅시다.

관계형 속성 설정 순서 ✅

  1. 먼저 '프로젝트'와 '할 일' 데이터베이스를 각각 준비합니다.
  2. '할 일' 데이터베이스에서 '+' 버튼을 눌러 새 속성을 추가하고, 속성 유형에서 '관계형(Relation)'을 선택합니다.
  3. 연결할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는 창이 뜨면,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선택합니다.
  4. '프로젝트에 관계 표시' 옵션을 활성화(ON)하고 속성 이름을 지정해줍니다. (예: '관련 업무들') → 이 옵션을 켜야 양쪽 데이터베이스에서 서로 연결된 항목을 확인할 수 있어요!
  5. '관계형 추가' 버튼을 누르면 설정 완료! 이제 '할 일' 데이터베이스의 관계형 속성 칸을 클릭해 어떤 프로젝트에 속한 업무인지 연결해 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연결하고 나면,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의 각 항목에서도 어떤 '할 일'들이 연결되어 있는지 바로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관계형의 단짝 친구, '롤업(Rollup)' 속성 활용하기 📊

관계형 속성을 설정했다면, 그의 단짝인 '롤업' 속성도 반드시 사용해야 합니다. 롤업은 관계형으로 연결된 다른 데이터베이스의 속성값을 '계산'하거나 '가져와서' 보여주는 기능이에요.

예를 들어, '프로젝트' 데이터베이스에서 연결된 '할 일'들의 진행 상태를 한눈에 보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할 일' 데이터베이스에 '상태(시작 전, 진행 중, 완료)' 속성이 있다면, 롤업을 이용해 'A 프로젝트'에 연결된 전체 할 일 중 '완료'된 항목의 비율(%)을 자동으로 계산해서 보여줄 수 있죠.

💡 롤업으로 할 수 있는 것들!
  • 숫자 계산: 연결된 항목의 숫자 속성 합계, 평균, 범위 등 계산 (예: 프로젝트 투입 시간 총합)
  • 상태 요약: 체크박스 속성이 체크된 개수, 상태별 개수 및 비율 표시 (예: 프로젝트 진행률)
  • 속성 가져오기: 담당자, 마감일 등 특정 속성값들을 그대로 가져와서 표시

 

실전! 관계형/롤업 활용 꿀팁 예시

관계형과 롤업은 무궁무진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유용한 예시를 확인해 보세요.

연결 데이터베이스 활용 아이디어
회의록 ↔ 참석자 회의록에 누가 참석했는지 기록하고, 개인별 페이지에서는 내가 참석했던 모든 회의록을 모아볼 수 있음.
독서 기록 ↔ 작가 '김영하' 작가 페이지에서 내가 읽은 김영하 작가의 모든 책 목록을 자동으로 생성.
가계부 ↔ 예산 '8월 식비' 예산 항목에 실제 지출 내역을 연결하고, 롤업으로 총 지출액과 예산 대비 사용률을 자동 계산.

 

💡

노션 관계형 & 롤업 핵심 요약

관계형(Relation): 흩어져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서로 '연결'하는 다리 역할이에요.
롤업(Rollup):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계산'하거나 '가져와서' 보여주는 기능이에요.
환상의 짝꿍: 관계형으로 연결하고 → 롤업으로 데이터를 요약하면 업무 효율이 극대화돼요!

자주 묻는 질문 (FAQ) ❓

Q: 관계형으로 연결했는데, 한쪽에서만 보여요.
A: 관계형 속성을 처음 설정할 때 'OOO에 관계 표시' 옵션을 켜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관계형 속성 편집 메뉴로 들어가 해당 옵션을 활성화하면 양쪽 데이터베이스에 모두 관계형 속성이 생성되어 서로 연결된 항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Q: 하나의 데이터베이스에 여러 개의 관계형 속성을 추가할 수 있나요?
A: 네, 물론입니다. 예를 들어 '할 일' 데이터베이스에 '프로젝트'를 연결하는 관계형 속성, '회의록'을 연결하는 관계형 속성을 각각 추가하여 하나의 할 일이 어떤 프로젝트와 어떤 회의에 관련 있는지 다각적으로 연결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Q: 롤업 계산이 너무 복잡하게 보여요. 더 깔끔하게 볼 수 없나요?
A: 롤업 속성 편집 메뉴의 맨 아래에 있는 '표시 방법' 옵션을 활용해 보세요. '숫자'만 표시하거나, '막대' 또는 '원'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하여 프로젝트 진행률 등을 훨씬 더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조금 낯설 수 있지만, 한번 개념을 이해하고 나면 노션을 활용하는 차원이 달라지는 것을 느끼실 수 있을 거예요. 오늘 배운 관계형과 롤업 기능으로 여러분만의 강력한 정보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보세요! 😊

댓글